Overview
콘솔에서 Kubernetes Resources를 관리 할 수 있습니다.
Yaml
Kubernetes는기본 파일 포맷인 Yaml를 사용하고 상세 스펙에 대한 설명입니다.
| 구성요소 | 설명 | 
|---|---|
| apiVersion | kubernetes api 버젼 | 
| kind | 리소스의 종류 (pod, service, deployment, ..) | 
| metadata | 리소스의 이름, label등을 지정함 | 
| spec | 리소스에 대한 설명 | 
| status | 리소스의 현재 상태 | 
Workloads
Kubernetes 에서 배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컴퓨트 오브젝트인 파드와, 이를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하이-레벨(higher-level) 추상화한것으로 Kubernetes에서 구동되는 Application입니다. 자세한 내용은 Workloads 문서를 참조하세요.
메뉴에서 Workloads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.
- Cluster 선택 - (1) 
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클러스터 목록이며 변경시 네임스페이스 콤보박스(2) 목록이 변경됩니다.
- Namespace 선택 - (2) 
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네임스페이스 목록이 노출되며 선택시 선택한 Workload 리소스의 목록(4)이 표시됩니다.
- Workloads의 리소스 메뉴 - (3) 
현재 콘솔에서 확인 가능한 리소스 메뉴입니다. 선택시에 선택한 리소스의 목록(4)이 조회됩니다.
- Resource 목록 - (4) 
선택한 클러스터, 네임스페이스, Workload 의 Resource 목록이 표시됩니다.
Deployments
Workloads의 Deployments 리소스 조회 화면입니다.
- 필터링 기능 - (1) 
필터링 기능을 사용하여 리소스의 이름으로 Deployments 리소스 목록을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.
- Deployments 리소스 생성 - (2) 
버튼 클릭시 Deployments 리소스 생성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- 페이징 기능 - (3) 
페이지당 목록 노출 갯수 변경, 페이지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.
- Deployments 리소스 상세 페이지 - (4) 
리소스의 이름을 클릭하거나, Actions의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상세 및 수정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- Deployments 리소스 삭제 - (5) 
선택한 리소스를 삭제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Deployments 생성
Deployments 리소스 생성화면 입니다.
- Save - (1) 
신규 리소스 정보를 YAML 포맷에 맞게 작성하여 Save 버튼을 클릭하면 리소스를 신규로 생성합니다.
하지만 YAML 문법 / Kubernetes Validation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편집창 상단에 오류 메세지가 노출됩니다.
- material/eclipse - (2) 
에디터의 테마를 material 또는 eclipse 로 변경 합니다.
Deployments 상세
Deployments 리소스 상세 화면입니다.
- YAML 탭 - (1) 
리소스의 상세정보를 YAML형식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Overview 탭 - (2) 
리소스를 YAML 구조에 따라 보기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Download 기능 - (3) 
리소스를 YAML 형식의 파일로 다운로드 합니다.
- Save (리소스 수정) - (4) 
상세 조회된 리소스를 편집하여 Save 버튼을 클릭하면 수정됩니다.
- List - (5) 
클릭시 리소스의 목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StatefulSet
Workloads의 StatefulSet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Pod
Workloads의 Pod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Terminal
파드 내부의 컨테이너에 SSH 세션을 연결합니다.
이 기능은 kubectl exec <pod-name> -it – sh 명령어와 동일하며 다음과 같은 제약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컨테이너에 SSH 세션 연결을 위한 커맨드(sh/bash)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접속할 수 없습니다. 
- 파드 접속에 필요한 권한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접속할 수 없습니다. 
- Container 항목에 파드 내부의 컨테이너 목록이 조회되고, 컨테이너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SSH 세션이 연결됩니다. 
- 연결이 완료되면 연결 성공 메세지와 함께 프롬프트가 표시됩니다. 
- Expand 버튼을 클릭하면 Terminal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. 
- Terminal 화면이 종료되면 SSH 세션 연결도 종료됩니다. 
Logs
파드 내부의 컨테이너에서 발생하는 로그를 조회합니다.
- Container 항목에 파드 내부의 컨테이너 목록이 조회되고, 컨테이너를 선택합니다. 
- Streaming 버튼을 클릭하면 로그가 조회됩니다. 
- Paused 버튼을 클릭하면 로그 조회가 중단됩니다. 
-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에 조회된 로그를 파일로 다운로드합니다. 
- 오른쪽 상단의 Expand 버튼을 클릭하면 Logs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. 
Secret
Workloads의 Secret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ConfigMap
Workloads의 ConfigMap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CronJob
Workloads의 CronJob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Job
Workloads의 Job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DaemonSet
Workloads의 DaemonSet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ReplicaSet
Workloads의 ReplicaSet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Horizontal Pod Autoscaler
Workloads의 Horizontal Pod Autoscaler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Deployments를 참조하세요.)
Event
선택한 클러스터의 네임스페이스에서 발생한 Event 목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Networking
메뉴에서 Networking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.
- Cluster 선택 - (1) 
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클러스터 목록이며 변경시 네임스페이스 콤보박스(2) 목록이 변경됩니다.
- Namespace 선택 - (2) 
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네임스페이스 목록이 노출되며 선택시 선택한 Networking 리소스의 목록(4)이 표시됩니다.
- Networking의 리소스 메뉴 - (3) 
현재 콘솔에서 확인 가능한 리소스 메뉴입니다. 선택시에 선택한 리소스의 목록(4)이 조회됩니다.
- Resource 목록 - (4) 
선택한 클러스터, 네임스페이스, Networking 의 Resource 목록이 표시됩니다.
Service
Networking의 Service 리소스 조회 화면입니다.
- 필터링 기능 - (1) 
Filter기능을 사용하여 리소스의 이름으로 Service 리소스 목록을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.
- Service 리소스 생성 - (2) 
버튼 클릭시 Service 리소스 생성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- 페이징 기능 - (3) 
페이지당 목록 노출 갯수 변경, 페이지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.
- Service 리소스 상세 페이지 - (4) 
리소스의 이름을 클릭하거나, Actions의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상세 및 수정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- Service 리소스 삭제 - (5) 
선택한 리소스를 삭제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Service 생성
Service 리소스 생성화면 입니다.
- Save - (1) 
신규 리소스 정보를 YAML 포맷에 맞게 작성하여 Save 버튼을 클릭하면 리소스를 신규로 생성합니다.
하지만 YAML 문법 / Kubernetes Validation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편집창 상단에 오류 메세지가 노출됩니다.
- material/eclipse - (2) 
에디터의 테마를 material 또는 eclipse 로 변경 합니다.
Service 상세
Service리소스 상세 화면입니다.
- YAML 탭 - (1) 
리소스의 상세정보를 YAML형식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Overview 탭 - (2) 
리소스를 YAML 구조에 따라 보기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Download 기능 - (3) 
리소스를 YAML 형식의 파일로 다운로드 합니다.
- Save (리소스 수정) - (4) 
상세 조회된 리소스를 편집하여 Save 버튼을 클릭하면 수정됩니다.
- List - (5) 
클릭시 리소스의 목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Ingress
Networking의 Ingress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Service 를 참조하세요.)
Network policy
Networking의 Network Policy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Service 를 참조하세요.)
Storages
메뉴에서 Storages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.
- Cluster 선택 - (1) 
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클러스터 목록이며 변경시 네임스페이스 콤보박스(2) 목록이 변경됩니다. 다만 Persistent Volume, StorageClass 리소스는 클러스터만 선택 할 수 있어서 네임스페이스 선택 콤보박스는 비활성화됩니다.
- Namespace 선택 - (2) 
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네임스페이스 목록이 노출되며 선택시 선택한 Networking 리소스의 목록(4)이 표시됩니다.
- Storages의 리소스 메뉴 - (3) 
현재 ZCP Console에서 확인 가능한 리소스 메뉴입니다. 선택시에 선택한 리소스의 목록(4)이 조회됩니다.
- Resource 목록 - (4) 
선택한 클러스터, 네임스페이스, Service의 Resource 목록이 표시됩니다.
Persistent Volume Claim
Storages의 Persistent Volume Claim 리소스 조회 화면입니다.
- 필터링 기능 - (1) 
Filter기능을 사용하여 리소스의 이름으로 Persistent Volume Claim 리소스 목록을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.
- Persistent Volume Claim 리소스 생성 - (2) 
버튼 클릭시 Persistent Volume Claim 리소스 생성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- 페이징 기능 - (3) 
페이지당 목록 노출 갯수 변경, 페이지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.
- Persistent Volume Claim 리소스 상세 페이지 - (4) 
리소스의 이름을 클릭하거나, Actions의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상세 및 수정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- Persistent Volume Claim리소스 삭제 - (5) 
선택한 리소스를 삭제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Persistent Volume Claim 생성
Persistent Volume Claim 리소스 생성화면 입니다.
- Save - (1) 
신규 리소스 정보를 YAML 포맷에 맞게 작성하여 Save 버튼을 클릭하면 리소스를 신규로 생성합니다.
하지만 YAML 문법 / Kubernetes Validation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편집창 상단에 오류 메세지가 노출됩니다.
- material/eclipse - (2) 
에디터의 테마를 material 또는 eclipse 로 변경 합니다.
Persistent Volume Claim 상세
Persistent Volume Claim 리소스 상세 화면입니다.
- YAML 탭 - (1) 
리소스의 상세정보를 YAML형식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Overview 탭 - (2) 
리소스를 YAML 구조에 따라 보기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Download 기능 - (3) 
리소스를 YAML 형식의 파일로 다운로드 합니다.
- Save (리소스 수정) - (4) 
상세 조회된 리소스를 편집하여 Save 버튼을 클릭하면 수정됩니다.
- List - (5) 
클릭시 리소스의 목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Persistent Volume
Storages의 Persistent Volume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Persistent Volume Claim을 참조하세요.)
StorageClass
Storages의 StorageClass 관련 리소스를 생성 및 조회, 수정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(자세한 사항은 Persistent Volume Claim을 참조하세요.)